앨범 정보

Soony Eight : 소길花

Soony Eight : 소길花

공유하기

장필순

앨범유형
정규앨범 , 블루스/포크 / 가요
발매일
2018.08.08
앨범소개
장필순, 여덟 번째: 무위(無爲)의 공동체의 음악

지금의 푸른곰팡이, 예전의 하나음악을 누가 언제부터 ‘공동체’라고 불렀을까. 본인들 스스로 먼저 그랬던 것 같지는 않고, 그 외부에서 그들을 지켜본 사람들 누군가가 그랬을 것이다. 그래서 막상 그 일원이 된 사람들이 공동체라는 호칭에 만족하는지도 분명하지 않다. 그저 ‘크게 반대하지는 않았다’는 정도였다는 것이다. 이곳을 공동체라고 부르는 것은 무엇보다도 이곳에서 나온 성과물들이 그 외부 세상의 이해관계와는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곳’이라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도 적합한 단어를 찾기 어려워서인데, ‘프로덕션’, ‘기획사’, ‘레이블’ 등의 이름은 어울리지 않는다. 간혹 ‘사업자등록증’ 같은 게 있는지 의심스러울 때조차 있다.

‘장필순의 8집’은 이 공동체의 또 하나의 작업의 성과다. ‘솔로 가수의 정규 앨범’이라는 것은 세속의 관습으로 인해 붙이는 이름일 뿐, 이 음반은 여럿이 함께,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만든 작품이다. 이들의 작업에 귀 기울이고 있었던 사람은 알고 있겠지만, 이 앨범은 2015년 4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소길○화(花) 」라는 제목 아래 디지털 싱글을 연작으로 발표한 10개의 곡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소길’이라는 지명이 한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누구나 아는 이름이 되기 훨씬 전의 일이다.

이 공동체가 ‘특별히 하는 일이 없는 곳’이라는 점은 더 이상 비밀은 아니다. 이 말이 ‘마냥 놀고먹는다’는 뜻이 아니라 ‘특정한 기획이나 프로그램을 따라 일하지 않는다’는 뜻이라는 것을 밝히는 것은 사족이다. 그래서 나는 이곳, 그리고 이곳과 연관된 사람들과 작품들을 접할 때마다 ‘무위(無爲)의 공동체’라는 프랑스 철학자 장 뤽 낭시(Jean Luc Nancy)의 오래된 책 제목을 떠올리곤 했다.

특별한 일을 하지 않으면서 흘러가는 일상의 리듬만큼 아름다운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아침의 느릿느릿한 기대감이 깃든 첫 번째 트랙 <아침을 맞으러>나 저녁의 만감이 교차하는 성찰을 담은 세 번째 트랙 <저녁 바다>가 고요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 앨범의 중후반에 연속해서 자리잡은 느릿한 템포와 나긋한 선율의 세 곡 <낡은 앞치마>, <외로워>, <집>은 분위기 있는 실내악이다. 소품이지만 감흥은 작지 않다.

그 일상의 공동체는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라는 물리적 장소에 기반하지만, 거기에 고정되게 묶여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음반의 작업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은 이곳에 거주해 온 장필순과 조동익이지만, 이적, 조동희, 배영길, 이상순, 이경 등의 동료나 지인이 먼 곳 혹은 가까운 곳에서 찾아와 작품(곡)을 남겼다. 피아노, 기타, 바이올린 등의 악기를 연주한 음향을 남기고 간 사람의 목록은 더 길다. 어떤 곳이 공동체라는 이름에 부합하다면, 이렇게 친밀하지만 이질적인 사람들이 이리저리 이동하고, 교차하고, 조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랑, 아무것도 아닌 얘기>와 <그림자 춤>이라는 두 ‘댄스곡’은 이곳 공동체의 삶에도 만남과 헤어짐이 만들어 내는 율동이 가득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적의 작품인) <고사리 장마>는 그 만남이 꼭 사람 끼리의 만남일 필요조차 없다는 듯 삶의 경이로움으로 넘쳐나면서 위 두 곡과 더불어 앨범의 하이라이트를 이룬다. 어떤날의 명곡 <그런 날에는>의 리메이크는 집 밖으로 나가서 자연의 사물과 함께 어울리고 싶은 감정을 표현하기에 이 곡만한 곡이 없기 때문이리라.

‘제주도에 있는 어떤 공동체에서의 삶’이 낭만적이고 여유롭기만 할까. 그렇게 말하기에는 절박하고 치열한 감정들로 가득 찬 곡들이 많다. 사실 이번 앨범을 전체적으로 휘감아 도는 정서가 그동안 이 공동체를 지탱해 주던 두 고인(故人) 조동진과 (그의 부인) 김남희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것을 알아채기가 그리 어렵지는 않다. 그 처절한 그리움조차 부박하게 드러나지 않고 조신하게 숨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 배치된 <그림>이나 마지막에서 두 번째 배치된 <아름다운 이름>을 들으면서 삶의 불가피한 유한성을 생각하지 않기란 불가능하지만...

그런데 사운드가 참 특이하다. 이제까지 그걸 설명하고 싶었는데, 그 특징을 표현할 적절할 말을 찾지 못했다. ‘자연적 악기음은 인공적으로 들리고, 인공적인 전자음은 자연스럽게 들리면서 유기적으로 어우러진다’는 진부한 표현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혹시 이제까지 우리는 자연적인 것은 살아있고, 인공적인 것은 죽어있다고 생각해 왔던 것일까. 그렇다면 이 음반에서 그 경계는 허물어지고 있거나 적어도 흐릿해지고 있다.

그래서 이 음악은 일반적인 한국 음악처럼 들리지 않는다. 예전에 이런 말은 ‘외국 음악처럼 들린다’는 뜻으로 사용했던 것 같다. 그런데 이제 장필순과 푸른곰팡이/하나음악에서 만드는 음악은 외국 음악처럼 들리지도 않게 되었다. 어떤 경지에 이르면 모든 구분은 무의미해진다. 자연과 인공, 삶과 죽음, 내부와 외부, 심지어 유한과 영원 등등. 아무것도 하지 않아 보이는 사람들은 이렇게 계속해서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채우고 비우고 다시 채우고 다시 비우면서...

-  대중음악평론가 신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