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정보

Big Red Machine

Big Red Machine

공유하기

Big Red Machine

앨범유형
정규앨범 , 락 / POP
발매일
2018.08.31
앨범소개
그래미 아티스트 Bon Iver와 The National의 드림 프로젝트, Big Red Machine

그래미 어워즈 수상에 빛나는 우리시대 최고의 아티스트, 본 이베어(Bon Iver)의 저스틴 버논(Justin Vernon)과 더 내셔널(The National)의 아론 데스너(Aaron Dessner)가 결성한 드림 밴드 'Big Red Machine’. 

2008년 무렵 아론 데스너가 저스틴 버논에게 에이즈 에이즈 자선단체 레드핫 오가니제이션(Red Hot Organization)의 컴필레이션 [Dark Was the Night]을 위해 만든 곡 'Big Red Machine'의 아이디어를 스케치한 음원을 보낸 것으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10년 간의 우정과 협력의 결과 [Big Red Machine]의10곡이 완성되었다. 아론 데스너의 복합성, 그리고 저스틴 버논의 환상적인 치유의 소리세계가 맞물리는 순간을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지켜볼 수 있게 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두 뮤지션의 오랜 협력자인 브래드 쿡(Brad Cook)이 공동 프로듀서로 이름을 올렸고, 더 내셔널의 앨범을 작업했던 조나단 로우(Jonathan Low)가 레코딩과 믹스를 담당했다. 더 내셔널의 앨범 [Sleep Well Beast]의 커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뉴욕 어퍼 허드슨 밸리에 위치한 아론 데스너의 롱 폰드(Long Pond) 스튜디오에서 대부분의 곡들이 녹음되었다. 
무엇보다 앨범의 각 곡에는 저스틴 버논과 아론 데스너가 공동 설립한 아티스트 집단 'PEOPLE'이 함께 하고 있다. 더 내셔널 멤버인 브라이스 데스너(Bryce Dessner)와 브라이언 데븐도르프(Bryan Devendorf), 리사 해니건(Lisa Hannigan), 피비 브리저스(Phoebe Bridgers), 그리고 아케이드 파이어(Arcade Fire)의 리차드 리드 패리(Richard Reed Parry) 등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아론 데스너는 PEOPLE에 소속된 사람들이 힘을 빌려주지 않았을 경우 이번 앨범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앨범은 자신들의 음악의 확실한 포인트를 취한 후 친구들로부터 아이디어를 모집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들은 이번 작품과 그 과정을 커뮤니티의 관점으로 파악해 나아갔다고 한다. 

앨범 이전에 4곡의 싱글이 먼저 공개되었다. 본 이베어 특유의 오토튠 보컬이 그 어느때보다 감성적으로 다가오는 ‘Forest Green’, 목가적인 리버브감의 기타 사운드와 드레이크(Drake) 스타일의 싱잉-랩 보컬이 인상적인 ‘Gratitude’, 힙합 스타일의 얼터너티브 싱글 ‘Lyla’, 숭고한 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Hymnostic’은 빅 레드 머신의 두 거장 아티스트의 완벽하게 조화로운 협업을 증명하는 트랙이다. 본 이베어 스타일의 섬세한 멜로디 라인이 다양한 사운드 이펙트와 리듬을 만나 묘한 긴장감을 느끼게 해주는 'Air Stryp'과 미래지향적인 대곡 ‘OMDB’는 이들의 가장 신선하고 진보적인 트랙이다. 혼 파트와 코러스로 더욱 힘을 준 컨트리 트랙 'I Won't Run From It', 그리고 기타가 전면에 등장하는 꽉 찬 편성의 헛간 리버브 사이로 열정적을 담아 노래하는 'Melt'로 앨범이 마무리된다. 

저스틴 버논과 아론 데스너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테두리를 넘어 스스로의 음악을 다음 단계로 끌어 올리는 작업을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 설명이 필요 없이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노래와 시대를 앞서가는 급진적인 비트들, 그리고 고전적인 관악파트와 코러스 파트 등이 효과적으로 공존하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합류한 앨범이기 때문에 음악의 축제의 느낌과 본 이베어의 음악세계와 닿아 있는 자연의 장엄함과 인간 본연의 외로움, 적막감과 같은 섬세한 감성들 또한 감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