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 정보

소녀의 봄, 8호 감방의 노래

8호 감방의 노래 (Narr. 컬투 김태균)

공유하기
1919년 3월 1일 이후,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 감방에는 7명의 인물이 수감된다.
모두 일제에 항거하여 3.1 운동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끌려온
여성 독립운동가들이었다.
유관순, 심명철, 어윤희, 권애라
신관빈, 임명애, 김향화.
지독한 고문에, 죽음에 대한 공포가
시시각각 옥죄어 오는 좁디 좁은 감옥 속에서
그들은 함께 노래를 만들어 부른다.
‘선죽교 피다리’라는 노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노래를 부르며
8호 감방의 지사들은 고문에 맞서
스스로를 다잡고 서로의 용기를
북돋아 줄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노래는 자신의 소임을 다 한 듯
시간 속에 묻혀가지만
100년만인 지난 2019년
심명철 지사의 아들인 문수일 선생에 의해
‘8호 감방의 노래’ 라는 이름으로
다시금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그리고,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의
공연을 위하여 만쥬한봉지가 곡을 붙인다.

전중이 일곱이 진흙색 일복 입고
두 무릎 꿇고 앉아 주님께 기도할 때
접시 두 개 콩밥덩이 창문 열고 던져줄 때
피눈물로 기도했네 피눈물로 기도했네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산천이 동하고 바다가 끓는다
에헤이 데헤이 에헤이 데헤이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